카테고리 없음

토레스EVX 전기차화재! 재평가 받는 BYD LFP블레이드배터리!

최한솔팀장 2025. 2. 4. 12:34
728x90

 

안녕하세요

BYD 대전전시장

최한솔팀장입니다.

 

전기차하면 떠오르는 키워드

바로 "화재" 인데요.

 

최근 KG모빌리티 토레스EVX

전기차가 차량충돌로 인해 전소되는

화재 사건이 있었습니다.

출처:포인트데일리

출처:포인트데일리:토레스EVX당시 화재사진

화재 당시 배터리 문제인 것으로

우려가 많았지만, 차량전소에도

배터리만 멀쩡해서

오히려 더 큰 이슈가 되었는데요.

 

예전 벤츠EQE모델 청라동 화재사건

기억하시죠?

그 사건이후 대중적으로 전기차 배터리에

대해 관심과 이해도가 높아지면서

NCM(니켈,코발트,망간)배터리에

대한 시각이 많이 바뀌고,

성능과 가격차원에서 저평가 받던

LFP(리튬,인산,철)배터리에 대한

재평가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토레스EVX화재사건은

BYD LFP블레이드 배터리에 대한

신뢰와 믿음을 주는 사건이

아닐수 없는데요.

 

토레스EVX는 지난해 12월

부산광역시 인근 강변도로에서

뒤에서 오던 차량과 충돌해 화재가 났습니다.

추돌 사고 후 불이붙어 차량이 전소되며,

엔진룸이 아닌 트렁크룸이 형체를

알아볼수없게 전소된 사건입니다.

 

화재가난 토레스는 26분만에

화재 진압에 성공했는데요.

보통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는

화재 진압이 2시간 넘게 걸리는게

보통입니다.

 

열폭주 현상은 삼원계NCM배터리에서

주로 발생되지만, 토레스EVX에 탑재된

배터리는 "BYD LFP블래이드배터리"

였기때문에 순식간에 진압이

가능했습니다.

사진출처:포인트데일리-화재 이후 배터리 셀 모습

 

당시 토레스EVX 차량을 보면

차량 대부분이 전소됐지만, 배터리는

아무 이상이 없었습니다.

호재로 인한 그을림과 외부 손상만

있었을뿐, 배터리 주위가 불타는

상황에도 배터리 열폭주는 없었습니다.

 

잇따른 화재에 전문가들은

생산지,제조사 문제가 아니라,

NCM배터리가 고성능이지만

외부충격에 약하고, LFP배터리는

외부 충격에 강하다는 평가입니다.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기차 화재사고는 72건인데요.

화재 발생률은 내연기관차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진화가 어려워 순식간에

피해가 커진다는 점에서 내연기관차와

달리 문제가 심각합니다.

 

전기차 배터리 화재가 사건이

연일 이어지며, 이번 KG모빌리티 전소당시

LFP배터리의 안전성과 관련해

커뮤니티에서는 "저평가 받은 LFP,

지금이라도 기술 확인 다시해야",

"NCM배터리는 고성능인데,,불나면 최악이네"

"토레스EVX전소때 배터리 멀쩡한거 보고 깜짝 놀랐음" 등 반응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전기차,,,주행거리보다

안전이 우선돼야 합니다.

.

.

전기차는 BYD

.

.

블레이드배터리가

정답 입니다.

 

BYD대전전시장

블레이드배터리를 장착한

소형SUV 아토3 인기리에 판매중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아토3 시승 및 상담문의

>>010-5320-2001<<

(BYD대전 최한솔팀장)

 

 
비전모빌리티 BYD 대전전시장

대전광역시 동구 한밭대로 1227

#전기차화재 #토레스화재

#BYD #BYD대전 #BYD아토3

#ATTO3 #NCM배터리

#LFP배터리 #블레이드배터리

 

728x90